안녕하세요, 저희는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재학생입니다!
이번 학기 '미디어와 공동체' 강의 수강 중에, '온라인커뮤니티-실천공동체'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서 <쓰레기덕질>에 관해 발표하고 싶어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우선, 환경 보호를 위해 이렇게나마 힘써주셔서 감사드린다는 말씀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쓰레기덕질>에 대해 사전조사를 하며 저희도 많이 배우고,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ㅎㅎ
'가상마을'에서의 '덕질'이라는 컨셉과 플랫폼 내의 재미난 아이디어들에 흥미를 갖고 쓰레기덕질을 주제로 삼게 되었는데요, 보다 건설적이고 풍부한 연구 내용을 위해 저희가 준비한 몇 가지 질문과 함께 온라인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인터뷰 답변 부탁 드려도 될까요??
진행하고자 하는 인터뷰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Q1. 앞으로 지속적인 활동과 프로젝트 등을 위한 재원 마련 방법과 재정 운영 방식이 궁금합니다.
씽: 특별히 재정 목표를 세워놓고 활동하고 있진 않아요. 2018년에 매장 내 1회용컵 규제 캠페인을 예산 없이 한 후, 2019년에는 예산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환경활동 지원사업과 청년 커뮤니티 지원사업에 지원해서 예산을 받았었어요. 쓰레기덕질 활동을 해보고 싶고, 예산이 필요하단 생각이 든 사람이 지원사업을 신청해보자고 제안하면 같이 할 사람들이 함께 팀을 이뤄 지원하곤 합니다.
Q2. 누구나 빠띠메이커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평적 네트워크를 추구한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오거나이저와 일반멤버의 참여도가 어떠한지, 또 오거나이저 멤버 구성에 변화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씽: 특별한 차이는 없는 듯 해요. 오프라인으로 모임을 같이 준비하거나 프로젝트를 하신 분들이 오거나이저를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역할이 주어지고 활동을 하기 보단, 활동을 하는 사람이 역할을 하는 구조랄까요. (규칙을 정하고 싶은데 어찌하면 좋을까 아이디어가 필요해요 ㅎㅎ)
Q3. 환경 보호는 많은 이들의 연대를 필요로 하는 운동이라는 점에서 ‘쓰레기덕질’ 커뮤니티의 확장이 주요 과제라고 보여지는데요, 온라인 커뮤니티의 확장을 위한 계획이나 방안이 있나요?
씽: 플라스틱컵 보증금제 캠페인을 했던 멤버들과 마무리 모임을 하면서, 아주아주 심플한 커뮤니티 규칙 하나를 정해보잔 아이디어가 나왔었어요. "3명이 모이면 쓰레기덕질 이름을 쓸 수 있음"이란 규칙이었어요. 이런 식으로 쓰레기덕질 이름을 누군가 독점하는 게 아니라, 활동에 공감하고 기여하는 사람이라면 쉽게 쓸 수 있는 것으로 만들어볼까 싶어요.
Q4. 플라스틱 컵어택, 알맹@망원시장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환경 운동 이후 실제로 멤버 수가 증가했는지 궁금합니다.
씽: 네, 그런 것 같아요. 언론에 보도되면 몇몇 분들이 기사나 방송 보고 들어왔다고 인사를 남기시더라구요.
Q5. 환경 운동을 하는 데 단순한 오프라인 활동만 하는 것보다 가상마을 이라는 이름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활동이 어떠한 영향력을 끼쳤는지 궁금합니다.
씽: 지금 인터뷰 요청 하신 것처럼, 처음 오시는 분들도 조금 쉽게 말걸기를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정보나 아이디어 공유도 쉬운 것 같네요.
Q6. 1회용컵 보증금제 부활 등 개혁적인 운동을 많이 하셨는데, 외부 세력이나 기업의 개입 혹은 충돌이나 반박은 없었나요?
씽: 2019년 매장 내 일회용컵 규제 캠페인 때 뺵다방이 반대를 표했었는데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https://campaigns.kr/campaigns/79/orders )
Q7. 커뮤니티를 통한 공론화와 캠페인 실천 등이 쓰레기 덕질의 주요 활동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온라인 서명 운동과 촉구 등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활동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실질적인 정책제안이나 발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발표일자는 4월26일, 10분 가량의 피피티 + 음성파일을 학교 홈페이지에 공개 업로드합니다 발표에 대해 궁금하신 게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강 유의하시고,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